본문
기존 세병기와 신규 세병기의 장단점 비교 장표
구분 |
기존 세병기(현재 국내외 사용중인 세병기) |
신규 개발된 세병기(특허10-2020-0040705) |
세병시간 |
5~6초 |
1초 |
세병효율 |
50%~60% |
99.90% |
사용 압력 |
1kg/㎠ |
3kg/㎠ |
세병 방식 |
세병 대상의 용기 내부에 와류를 일으켜움직이는 이물을 용기 내부에서 제거하는 방식 |
압축공기의 장점을 응용하여 세병과 이물분리를 이원화 함 |
적용제품 |
화장품 용기.의약품 용기,생활용품 용기류 |
화장품용기.식품용기.의약품 용기.생활용품용기.유리병 각종 음료 용기 등
|
장점 |
-없음 |
-세병시간 짧음(1초) |
-세병효율 높음(99.9%) |
||
-구조 단순하며 트러블 요인 없음 |
||
- 주입구를 통해 혼입된 어떠한 이물도 간단히 제거 됨. |
||
-금속.유리조각 등 무게가 있는 이물 제거 가능함 |
||
-세척수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관계로 세척수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라인에 적용시 폐수절감효과 기대됨 |
||
단점 |
-세병시간이 길다(5~6초) |
-없음 |
-세병 효율이 낮음(50~60%) |
||
-수분이 묻은 이물 제거 안됨 |
||
-유조각.금속등 무게가 있는 이물 제거 안됨 |
||
검증 결과 |
-가벼운 지분.머리카락.먼지 등 일부 제거 됨 |
|
세병기 동영상 비교
개선전
현재 국내외 사용중인 세병기
테스트용 용기는 화장품에서 사용중인 사각용기를 이용. 테스트 하였으며 이물 유형으로는 정전기가 심하게 발생되는 비닐.스치로폴.
스폰지.머리카락.박스지문.낙옆등을 용기 내부에 투입시킨후 테스트 함.
개선후
신규 특허출원된 신개념 세병기
테스트용 용기는 화장품에서 사용중인 사각용기를 이용. 테스트 하였으며 이물 유형으로는 정전기가 심하게 발생되는 비닐.스치로폴.
스폰지.머리카락.박스지문.낙옆등을 용기 내부에 투입시킨후 테스트 함.